<저서소개>
첫 예불문에서 10년 만에 개정 4판인 예불문.
이 예불문만 있으면 수행 방법과 신심, 노력, 알아차림 등 불선업을 소멸하고 번뇌를 해결 하는 길에 의심은 일어날 수 없다.
<목차>
1. 계를 청함
(1) 삼귀의와 오계
(2) 삼귀의와 팔계
2. 삼보예경
(1) 부처님 공덕 (붓다 완다나)
(2) 담마 공덕 (담마 완다나)
(3) 상가 공덕 (상가 완다나)
(4)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
(5) 수행으로 부처님을 예배
3. 보호경
(1) 보호경 서문 (빠릿따 빠리깜마)
(2) 행복경
(3) 보배경
(4) 자애경
(5) 몸 경
(6) 공작새경
(7) 메추라기경
(8) 깃발 끝 장식경
(9) 아따나띠야경
(10) 앙굴리말라경
(11) 칠각지경
(12) 아침경
4. 진리의 게송
(1) 자아를 다스리는 다섯 가지
(2) 자주 상기해야 할 다섯 가지
(3) 현선일야경
(4) 왕경
(5) 연기의 법칙
(6) 팔정도
(7) 게송
5. 베풂
(1) 보시
(2) 네 가지 청정한 보시
(3) 훌륭한 보시
(4) 보시 공덕
(5) 법보시
6. 자애 게송
(1) 참회와 용서
(2) 자애 이익
(3) 자애 게송
(4) 자애관 Ⅰ
(5) 자애관 Ⅱ
(6) 모든 존재의 행복을 위한 기원
(7) 자애 실천
(8) 네 가지 한없는 마음
7. 수행
ㄱ) 사띠빳타나 관찰방법
(1) 위빠사나 지혜란 무엇을 관찰해야 하나?
(2) 위빠사나 지혜란 무엇을 관찰하여 얻는가?
(3) 위빠사나 관찰방법
(4) 40가지 응시(관찰)
ㄴ) 죽음과 몸의 부분 수행
(1) 죽음에 대한 숙고
(2) 두려움을 벗어나고 죽음을 승화하는 게송
(3) 서른두 가지 몸의 부분 관찰
ㄷ) 마음, 마음요소
(1) 마음
(2) 52가지 마음 요소
8. 모음
(1)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
(2) 날마다 새겨야 할 가르침
(3) 고귀한 여덟 분을 위한 담마
(4) 법 공덕
(5) 탁발 공양
(6) 공양 게송
(7) 부처님이 좋아요
9. 마무리
(1) 수행으로 경배함
(2) 회향
(3) 발원
10. 부록
<저서소개>
첫 예불문에서 10년 만에 개정 4판인 예불문.
이 예불문만 있으면 수행 방법과 신심, 노력, 알아차림 등 불선업을 소멸하고 번뇌를 해결 하는 길에 의심은 일어날 수 없다.
<목차>
1. 계를 청함
(1) 삼귀의와 오계
(2) 삼귀의와 팔계
2. 삼보예경
(1) 부처님 공덕 (붓다 완다나)
(2) 담마 공덕 (담마 완다나)
(3) 상가 공덕 (상가 완다나)
(4) 부처님의 열 가지 지혜
(5) 수행으로 부처님을 예배
3. 보호경
(1) 보호경 서문 (빠릿따 빠리깜마)
(2) 행복경
(3) 보배경
(4) 자애경
(5) 몸 경
(6) 공작새경
(7) 메추라기경
(8) 깃발 끝 장식경
(9) 아따나띠야경
(10) 앙굴리말라경
(11) 칠각지경
(12) 아침경
4. 진리의 게송
(1) 자아를 다스리는 다섯 가지
(2) 자주 상기해야 할 다섯 가지
(3) 현선일야경
(4) 왕경
(5) 연기의 법칙
(6) 팔정도
(7) 게송
5. 베풂
(1) 보시
(2) 네 가지 청정한 보시
(3) 훌륭한 보시
(4) 보시 공덕
(5) 법보시
6. 자애 게송
(1) 참회와 용서
(2) 자애 이익
(3) 자애 게송
(4) 자애관 Ⅰ
(5) 자애관 Ⅱ
(6) 모든 존재의 행복을 위한 기원
(7) 자애 실천
(8) 네 가지 한없는 마음
7. 수행
ㄱ) 사띠빳타나 관찰방법
(1) 위빠사나 지혜란 무엇을 관찰해야 하나?
(2) 위빠사나 지혜란 무엇을 관찰하여 얻는가?
(3) 위빠사나 관찰방법
(4) 40가지 응시(관찰)
ㄴ) 죽음과 몸의 부분 수행
(1) 죽음에 대한 숙고
(2) 두려움을 벗어나고 죽음을 승화하는 게송
(3) 서른두 가지 몸의 부분 관찰
ㄷ) 마음, 마음요소
(1) 마음
(2) 52가지 마음 요소
8. 모음
(1)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
(2) 날마다 새겨야 할 가르침
(3) 고귀한 여덟 분을 위한 담마
(4) 법 공덕
(5) 탁발 공양
(6) 공양 게송
(7) 부처님이 좋아요
9. 마무리
(1) 수행으로 경배함
(2) 회향
(3) 발원
10. 부록